분류 전체보기 1250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 #'도덕시화표루'(道德詩畫僄樓) 도덕(道德)과 시화(詩畵)가 있는 서재. #공시태수(公始太守)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 #'도덕시화표루'(道德詩畫僄樓) 도덕(道德)과 시화(詩畵)가 있는 서재. #공시태수(公始太守) "옛날의 충직한 공직자는 이런 대단한 일들을 하셨습니다. 태수에 부임하는 분을 위해 씁니다." ​그러니까, 공무원을 시작하는 누군가에게 요즘 흔한 탐관오리들 처럼 백성의 곡식 빼먹지나 말고 옛날 복희씨나 주공처럼 정치 똑바로 하여 들판을 풍성하게 하라는 말을 저렇게 현학적(pedantically) 으로 돌려서 하고 있는 멘트인 셈이다. 물론 그렇게 직설한 것은 아니고, 원칙과 상식에 맞는 정치를 하셔서 좋은 터를 닦고 좋은 결실을 맺도록 하시라는 점잖은 당부로 보는 게 추사다울 것이다. 노자의『도덕경(道德經)의 사상은 한마디로 무위자연(無爲自然) 의 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무위..

카테고리 없음 2023.09.09

#노완(老阮) #김정희(金正喜) #'시화표경(詩畫僄境)' 시화의 경지 #완당(阮堂)

#노완(老阮) #김정희(金正喜) #'시화표경(詩畫僄境)' 시화의 경지 #완당(阮堂) 붉은색은 전통적으로 잡귀를 쫓고 경사를 부르는 벽사진경(辟邪進慶)의 색으로 여겨져 팥 시루떡을 돌상이나 생일상, 고사상에 올렸고, 새색시의 볼과 이마에 연지곤지를 찍어 붉은색에 부여된 주술적 힘을 활용했습니다. 추사는 중국산으로 여겨지는 붉은색 냉지(冷紙)를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며 추사는 중국 수입산 최고급지에 서예하는 것을 즐겨했다고 합니다~

카테고리 없음 2023.09.08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 #'무량수정(無量壽亭)' #동해낭환(東海琅嬛)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 #'무량수정(無量壽亭)' 한없이 오래 사는 수명을 누릴수있는 정자 #동해낭환(東海琅嬛) ; '동해낭환(東海琅嬛)'의 낭환(琅嬛)은 낭환복지(琅嬛福地)의 줄인말로 도가에서 하느님의 서재라는 뜻이다. 동해낭환(東海琅嬛)의 속뜻은 추사는 벼슬에 나가지 못하고 책만 마음대로 볼 수 있는 백수라는 이야기를 빗대어 한 말이다.

카테고리 없음 2023.09.07

#현재 심사정(玄齋 沈師正 1707~1769) #화조도(花鳥圖) #수국

#현재 심사정(玄齋 沈師正 1707~1769) #화조도(花鳥圖) #수국 조선후기의 화가로 주요 작품은 와 와 . 본관은 청송, 자는 이숙(頣叔), 호는 현재(玄齋) 또는 묵선(墨禪)이며 증조부가 영의정을 지낸 명문가에서 태어났으나 조부가 과거부정사건과 왕세자 시해 음모에 연루되어 벼슬길에 오르지 못했다. 20세 무렵에 정선의 문하에서 그림을 배웠으며 특히 산수를 잘 그려 정선과 함께 겸현양재라 불렸다. 초기에는 정선의 화풍을 토대로 원말사대가와 남종화풍을 터득했고 50대에 이르러서는 중국과는 구별되는 한국적 화풍을 이루었다. 정선과 함께 영조 연간 최고의 대가로 손꼽혔으며 이후 최북, 김유성, 이인문, 이방운 등에게 많은 영향을 미쳤다

카테고리 없음 2023.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