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 #'도덕시화표루'(道德詩畫僄樓) 도덕(道德)과 시화(詩畵)가 있는 서재. #공시태수(公始太守)

유담강 2023. 9. 9. 09:32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
#'도덕시화표루'(道德詩畫僄樓) 도덕(道德)과 시화(詩畵)가  있는 서재.
#공시태수(公始太守)

"옛날의 충직한 공직자는 이런 대단한 일들을 하셨습니다. 태수에 부임하는 분을 위해 씁니다."
​그러니까, 공무원을 시작하는 누군가에게 요즘 흔한 탐관오리들 처럼 백성의 곡식 빼먹지나 말고
옛날 복희씨나 주공처럼 정치 똑바로 하여 들판을 풍성하게 하라는 말을 저렇게 현학적(pedantically) 으로 돌려서 하고 있는 멘트인 셈이다. 물론 그렇게 직설한 것은 아니고,
원칙과 상식에 맞는 정치를 하셔서 좋은 터를 닦고 좋은 결실을 맺도록 하시라는 점잖은 당부로 보는 게 추사다울 것이다.
노자의『도덕경(道德經)의 사상은 한마디로 무위자연(無爲自然) 의 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무위는 ‘도는 언제나 무위이지만 하지 않는 일이 없다(道常無爲而無不爲).’의 무위이고, 자연은 ‘하늘은 도를 본받고 도는 자연을 본받는다(天法道道法自然).’의 자연을 의미하는 것으로, 결국 『도덕경』의 사상은 모든 거짓됨과 인위적인 것에서 벗어나려는 사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