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411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 '지혜의 빛에 의해서 열반의 완성된 경지에 이르는 마음의 경전’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관자재보살행심반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지혜의 빛에 의해서 열반의 완성된 경지에 이르는 마음의 경전’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관자재보살행심반야바라밀다시조견오온개공도일체고액사리자색불이공공불이색색즉시공공즉시색#청동 #고려시대관자재보살께서 심원한 반야의 완성을 실천하실 때에 오온이 다 공이라는 것을 비추어 깨달으시고, 일체의 고액을 뛰어넘으셨다.사리자여! 오온개공이라는 말이 과연 무엇이겠느냐? 색이 공에 다르지 않고, 공이 색에 다르지 않으니, 색이 곧 공이요, 공이 곧 색이다.물질적인 세계와 평등 무차별한 공(空)의 세계가 다르지 않음을 뜻함. 원문은 “색불이공공불이색(色不異空空不異色) 색즉시공공즉시색(色卽是空空卽是色)”이며, 이는 “색이 공과 다르지 않고 공이 색과 다르지 않으며, 색이 곧 공이요 공이 곧..

#일연(一然 1206~1289) 절첩본 11cm × 24첩 , 528cm ,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 권제373 #지원(至

#일연(一然 1206~1289) 절첩본 11cm × 24첩 , 528cm ,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 권제373#지원(至元) 15년 (원나라 세조때 연호 1264~1294) 무인년 (1278) 고려 충렬왕 4년.#일연 합장(一然 合掌)#일연(一然, 1206희종2 ~1289충렬왕15)은 고려 충렬왕 때의 승려로, 보각국사(普覺國師)라고도 한다.일연은 고려후기『화록』,『게송잡저』, 『삼국유사』 등을 저술한 승려이다. 1219년(고종 6) 설악산 진전사에서 대웅의 제자가 되었고, 수행을 거듭하여 구산문 사선의 으뜸이 되었다.몽고 침입 후 무주암에서 깨달음을 얻고 남해 정림사에서 대장경 제작에 참여했다. 이어 원종의 부름을 받아 강화도의 선월사에 머물며 설법하고 지눌의 법을 계승했다. 12..

카테고리 없음 2025.07.19

#금강경 上下 #금강반야경 [金剛般若經] #금강 반야 바라밀경 (金剛般若波羅蜜經) 上下 #금속활자본 #목판본 #조선시대 #구결 #두주 #묵서

#금강경 上下 #금강반야경 [金剛般若經]#금강 반야 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 上下#금속활자본 #목판본#조선시대#구결 #두주 #묵서금강경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널리 유통되고 신봉되었던 대표적인 불경으로 『금강반야경(金剛般若經)』·『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이라고도 한다.이 경전의 한역본은 402년에 요진의 구마라습이 번역한 것 외에 7종이 있다. 우리나라에는 삼국시대의 불교유입 초기에 전래되었으며, 고려 중기에 지눌(知訥)이 불교를 배우고자 하는 사람들의 입법(立法)을 위해서 반드시 이 경을 읽게 한 뒤부터 널리 유통되었다.이 경은 공한 지혜[空慧]로써 그 근본을 삼고, 일체법무아 (一切法無我)의 이치를 요지로 삼았다. 공의 사상을 설명하면서도 경전 중에서 공이라는 말이 한마디도 쓰여지지 않은 것이..

카테고리 없음 2025.07.18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권제7(20~24) #금사경 #감지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은 대승경전들 가운데 가장 으뜸경으로 불려온 경전(經典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권제7(21~24) #금사경 #감지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은 대승경전들 가운데 가장 으뜸경으로 불려온 경전(經典)이다. 묘법연화경을 줄여서 약칭- 법화경(法華經)이라 한다.묘법연화경이란 묘한 법이 물속에서 난 연꽃이 물에 젖지 않는 것과 같음을 비유하였다. 경의 구성은 총 7권 28품으로 구성되어 있다.우리나라 천태종의 근본이 되는 불교경전.

카테고리 없음 2025.07.15

#문수사리문보리경 #金변상도 #銀사경 #원통2년 갑술 9월 (고려 충숙왕 복위 3년 ; 1334년 ) 일지 #자선대부장작원사안 새한

#문수사리문보리경 #金변상도 #銀사경#원통2년 갑술 9월 (고려 충숙왕 복위 3년 ; 1334년 ) 일지#자선대부장작원사안 새한#절념하부모훈육지은#황제 황태후 사인태자권우지덕획사#양궁위계이품영회도감촌성어시연금사성#대화엄경일부범팔십권원 불승기#천영년복원#건곤비어복수일월병조임가국함녕인신균경(신상 위태천 도)

카테고리 없음 2025.07.14

#금동 청동 당초문 불경함 #사리함? #지장보살본원경 #불설아미타경 #사경 변상도 두루마리 장황 ( 19m ) #개원7년 기미 2

#금동 청동 당초문 불경함 #사리함?#지장보살본원경 #불설아미타경 #사경 변상도 두루마리 장황 ( 19m ) #개원7년 기미 2월 불초 김지성 서 ( 719년, 신라 성덕왕 18년 )♧金志誠 (652~720) ; 신라 성덕왕때 집사시랑, 상사. 감산사 창건,석조미륵보살입상 (국보 81호), 석조아미타여래입상 (국보 82호) 조성.- 삼국사기에 의하면 신문왕의 둘째아들이며 효소왕의 동복동생인 성덕왕(702~737)의 이름이 본래 융기이나 당현종과 이름이 같아 선천연간에 金志誠이라 고쳤다함.

카테고리 없음 2025.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