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235

#청동 명문(銘文) 향완(香垸) #고려시대 #향완(香垸) ; 공양구(供養具)는 부처님께 바치는 공양품인 향, 꽃, 물, 음식 등을 담는 것

#청동 명문(銘文) 향완(香垸) #고려시대 #향완(香垸) ; 공양구(供養具)는 부처님께 바치는 공양품인 향, 꽃, 물, 음식 등을 담는 것으로 향합과 향로, 꽃바구니(화롱華籠), 화병(華甁), 촛대 등이 있다. 특히 향로, 화병, 촛대는 불전에 올리는 기본적인 공양구로 삼구족(三具足)이라고 한다. 부처님께 향을 공양할 때 사용하는 향로(香爐) 가운데 나팔[喇叭]처럼 퍼진 높은 굽과 넓은 전이 달린 그릇 모양의 몸체를 가진 향로를 향완(香垸)이라고 한다. #명문(銘文) ; 금석이나 기물 등에 새겨 놓은 글# 청동 은입사 범어 모란문 향완 (靑銅 銀入絲 梵語 牡丹文 香垸) #용봉 범어문 돌향완 (龍鳳 梵語文 石香垸) 향완(香垸)들..

카테고리 없음 2024.10.06

#장군도(將軍圖) #최일장군도(崔一將軍圖) 무력을 가진 무신(武神) 으로 인간을 수호하고 무당의 영험을 관장하는 신이다. 황해도 지방의 무당들

#장군도(將軍圖) #최일장군도(崔一將軍圖) 무력을 가진 무신(武神) 으로 인간을 수호하고 무당의 영험을 관장하는 신이다. 황해도 지방의 무당들에 의해 최영(崔瑩)장군을 최일장군 이라고 부른다. 그 이유는 최씨가문에 제일가는 장군이라는 뜻이다. 만신(무당)의 조정은 개성 덕물산(德物山)이라고 한다. 덕물산에는 최영장군을 모시는 최영사(崔瑩詞) 가 있었고 무당의 조정이 되는 덕물산에 최영의 신을 모시는 신당이 있었으므로 무당들 사이에서는 최영장군의 위력이 대단하게 되었고 반면에 최일장군 (최영장군)은 강신무당 이라면 누구나 모시는 신이 되었다. 최영(1316-1388)은 고려의 명장으로써 청렴결백한 장군으로써 풍채가 괴걸하고 힘이 뛰어났었다. 이성계에게 패하고 억울하게 죽은 원혼이 무당들에 의해 신으로 봉안..

카테고리 없음 2024.10.05

#제석신중도(帝釋神衆圖) ; 불법을 수호한다는 외호중(外護衆)으로 제석천·범천·금강역사(金剛力士)·사천왕(四天王) 등. #칠성도(七星圖)

#제석신중도(帝釋神衆圖) ; 불법을 수호한다는 외호중(外護衆)으로 제석천·범천·금강역사(金剛力士)·사천왕(四天王) 등이 잘 알려져 있다. #칠성도(七星圖):별자리 가운데 가장 널리 알려진 북두칠성을 신앙하여 그린 것으로 치성광삼존도(熾盛光三尊圖)가 있다.

카테고리 없음 2024.10.02

#신중도(神衆圖) 신중도의 화면을 구성하는 세 그룹은 천신을 그린 천부(天部), 신장상을 그린 천룡부(天龍部), 예적금강을 그린 명왕부(明王

#신중도(神衆圖) 신중도의 화면을 구성하는 세 그룹은 천신을 그린 천부(天部), 신장상을 그린 천룡부(天龍部), 예적금강을 그린 명왕부(明王部)이다. 천부만을 독립적으로 그린 제석천도는 고려시대부터 조선 중기까지 유행했던 형식으로 주로 주존인 제석천이 자신의 거처인 선견성이 그려진 타원형의 부채를 들고 봉황장식의 의자에 앉은 형상으로 묘사된다. 이후 18세기 후반 경부터는 합장을 한 형상의 범천․제석천이 함께 표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천룡부만을 그린 천룡도는 위태천을 주존으로 천룡팔부중을 주변에 묘사된다. 용뿔을 든 용 모습의 용왕과 새의 날개를 지닌 가루라, 사자관을 쓴 건달바 등은 도상적인 특징이 명확한데 비해 대부분의 무장상을 무복(武服)을 입은 모습으로 표현되어 명칭을 알 수 없다. 19세기 후..

카테고리 없음 2024.10.01

#신중도(神衆圖) '신중(神衆)'은 직역하면 '신(神)의 무리(衆)'로, '신중도(神衆圖)'는 '부처의 정법을 수호하는 신들(神衆)을 그린

#신중도(神衆圖) '신중(神衆)'은 직역하면 '신(神)의 무리(衆)'로, '신중도(神衆圖)'는 '부처의 정법을 수호하는 신들(神衆)을 그린 그림(圖)'이란 뜻이다. 사실 신중은 원래 불교의 신이 아니었고, 불교가 생기기 전에 인도에 존재했던 다른 종교들의 신이었다. 처음에 불교는 이들과 경쟁할 수 밖에 없었지만, 경쟁 대신 이들을 감화해 귀의시키는 방법을 선택했다. 그리고 기존 종교의 신들을 부처의 가르침을 수호하는 신으로 삼았으니 이들이 바로 신중이다.

카테고리 없음 2024.09.30

#신중화(神衆畵) 부처님의 정법을 수호하는 신중을 그린 불화. 신중도·신중탱화. 정법수호의 신장상은 고려시대까지 불화나 사경, 벽화 등에서

#신중화(神衆畵) 부처님의 정법을 수호하는 신중을 그린 불화. 신중도·신중탱화. 정법수호의 신장상은 고려시대까지 불화나 사경, 벽화 등에서 개별 도상으로 그려졌으나 조선시대에 이르러 전각봉안용 불화로서 여러 신들을 함께 그린 신중도(神衆圖)가 조성되었다. 신중도는 석가모니불을 모신 대웅전(大雄殿)이나 비로자나불을 모신 대적광전(大寂光殿) 등의 불전(佛殿)이나 보살을 모신 보살전(菩薩殿) 등에 봉안되며, 전각 안에서는 불단(佛壇)을 향하여 우측이나 좌측에 모셔진다. 신중도는 18세기부터 20세기 전반에 집중적으로 그려졌던 대중적인 불화로서 그 도상은 신중들의 서열을 의식하여 배치된다. 신중도의 유형은 제석을 주존으로 하여 권속을 그린 제석천도(帝釋天圖), 위태천을 중심으로 신장상들을 그린 천룡도(天龍圖),..

카테고리 없음 2024.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