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250

#지장보살도(地藏菩薩圖) 50cm × 103cm

#지장보살도(地藏菩薩圖) 50cm × 103cm 지장보살(地藏菩薩)은 육도(六道:지옥·아귀·축생·수라·하늘·인간세상의 여섯 가지 세상)의 중생을 구원한다는 보살. 그는 모든 중생, 특히 악도(惡道)에 떨어져서 헤매는 중생, 지옥의 고통을 받으며 괴로워하는 중생들 모두가 빠짐없이 성불하기 전에는 자신도 결코 성불하지 않을 것을 맹세한 것이다. 지장보살에게 귀의하여 해탈을 구하면 악도를 벗어나서 천상락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죽은 뒤 뿐만 아니라 살아 있을 때도 똑같이 적용된다. 모든 중생을 지옥의 고통에서부터 구제해 준다는 것이다. 지장보살은 삭발한 머리에 석장을 짚고 여의주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카테고리 없음 2023.07.28

#수월관음도(水月觀音圖) #선재동자(善財童子)

#수월관음도(水月觀音圖) #선재동자(善財童子) 고려시대 수월관음도는 전세계 약 160점 정도 남은 고려불화 중에서 수월관음도가 40점이나 된다. 그 정도로 많이 그렸고 인기 있는 주제였다. 중국에서 당송 시대 이후 형성된 33변화관음 중 수월관음의 모습을 도상화한 불화가 수월관음도이다. 화엄경에 따르면 선재동자가 여러 스승들을 찾아 순례를 한다. 선재동자가 찾아가는 선지식(스승) 중에 관세음보살도 있는데, 관세음보살은 보타낙가산(補陀洛迦山)의 연못가 바위 위에 앉아 선재동자를 맞이하였다. 수월관음도는 화엄경에서 선재동자를 맞이하는 관세음보살의 모습을 기본 구성으로 한다. 수월관음이 상징하는 의미를 두고 여러 해석들이 있지만, 관음보살의 자비가 물에 비친 달처럼 멀리 퍼져나가서 중생에게 깨우침을 준다는 것..

카테고리 없음 2023.07.27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 #관음보살(觀音菩薩)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 #관음보살(觀音菩薩) 관세음보살은 불교에서 구원을 요청하는 중생의 근기에 맞는 모습으로 나타나 대자비심을 베푼다는 보살이다. 관자재보살 또는 줄여서 관음보살이라고도 한다. 고통에 허덕이는 중생이 일심으로 그 이름을 부르기만 하면 즉시 그 음성을 듣고 달려와 자비심으로 구제해주는 보살로, 현세이익 신앙의 대표적인 경배 대상이다. 보통 머리 위에 화불을 가지고 있거나 천관을 쓰고 왼손에 연꽃을 들고 있는 모습인데, 천수관음·십일면관음 등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관세음보살은 무량수전 아미타불의 협시보살로 모시거나 원통전·관음전에 별도로 모셔져 있다. #관음(觀音) #성덕태자(聖德大子) #불도산야판사(佛道山野坂寺)

카테고리 없음 2023.07.26

#금강경 上下 #금강반야경 [金剛般若經] #금강 반야 바라밀경 (金剛般若波羅蜜經) 上下 #금속활자본 #목판본 #조선시대 #구결 #두주 #묵서

#금강경 上下 #금강반야경 [金剛般若經] #금강 반야 바라밀경 (金剛般若波羅蜜經) 上下 #금속활자본 #목판본 #조선시대 #구결 #두주 #묵서 금강경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널리 유통되고 신봉되었던 대표적인 불경으로 『금강반야경(金剛般若經)』·『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이라고도 한다. 이 경전의 한역본은 402년에 요진의 구마라습이 번역한 것 외에 7종이 있다. 우리나라에는 삼국시대의 불교유입 초기에 전래되었으며, 고려 중기에 지눌(知訥)이 불교를 배우고자 하는 사람들의 입법(立法)을 위해서 반드시 이 경을 읽게 한 뒤부터 널리 유통되었다. 이 경은 공한 지혜[空慧]로써 그 근본을 삼고, 일체법무아 (一切法無我)의 이치를 요지로 삼았다. 공의 사상을 설명하면서도 경전 중에서 공이라는 말이 한마디도 쓰여..

카테고리 없음 2023.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