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nh7Ge/btso8cBOMLz/qqrhYdKy8j1RFiXibn0xH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rU2qj/btspcw0Op6X/m6IBAeQuDH2UTH7vBp7i6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KKTkS/btso1uD8fem/gUIX72bzvVAbKDSgh27yT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JmASA/btso8d1NNiJ/QTQ1qaJQky4VnnHKL1nB3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kUhP9/btso5sMxmMN/Ke8OSzyoaieb1VbSchNlf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mO6hq/btso6akBhec/Op2nOkfhjrYYhcXtsfSkn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vIGnJ/btso6LdDOGE/LX9nEif5p6wQPpmYOAH1M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2gv3Y/btso7SDs7Dc/8cv5O7BlQsdrZynhfEH6w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fz4GG/btso7RxMnGH/3a9kSaT1KDODupCZ4BNqc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uCGvD/btso9f57UDb/nUKEcm8L9t62Sh7PnScIU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ltnLt/btspcvt3QiD/u5ExgTO4DFXHysv4Vc5is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RAeWL/btso5ucxrZu/EhbKnglf5IzG8VDbwH0p5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QjVWf/btspcv8Fqv9/zEppHyUo1QSkkN6feZKGu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YSI1w/btso6b4QbVW/oclZbfj8kn4iMNaRS3fB3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wYaG6/btso8y5PVnG/UxnJbkH1v2LDo8SkBiCJT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BFPHH/btso92S8cq7/aUsUwOgWhfUu2hkzcIiqQ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WWSvE/btso1vbYSik/1yAL5Gm6I9kW1ZLNYlAKnk/img.jpg)
#수월관음도(水月觀音圖)
#선재동자(善財童子)
고려시대 수월관음도는 전세계 약 160점 정도 남은 고려불화 중에서 수월관음도가 40점이나 된다. 그 정도로 많이 그렸고 인기 있는 주제였다. 중국에서 당송 시대 이후 형성된 33변화관음 중 수월관음의 모습을 도상화한 불화가 수월관음도이다.
화엄경에 따르면 선재동자가 여러 스승들을 찾아 순례를 한다. 선재동자가 찾아가는 선지식(스승) 중에 관세음보살도 있는데, 관세음보살은 보타낙가산(補陀洛迦山)의 연못가 바위 위에 앉아 선재동자를 맞이하였다. 수월관음도는 화엄경에서 선재동자를 맞이하는 관세음보살의 모습을 기본 구성으로 한다.
수월관음이 상징하는 의미를 두고 여러 해석들이 있지만, 관음보살의 자비가 물에 비친 달처럼 멀리 퍼져나가서 중생에게 깨우침을 준다는 것이 주된 해석이다. 수월관음도가 여러 고려불화 중 가장 인기 있는 이유는 도상에서 장식성이 매우 뛰어나기 때문이다. 특히나 관음보살이 머리부터 발끝까지 쓰고있는 장식적인 사라(투명하고 얇은 비단) 베일이 인상적이다. 실제로 고려시대에는 매미 날개만큼이나 얇고 투명한 비단을 직조해서 원나라 공주가 탐을 냈다는 기록도 있을 정도로. 직조술이 발달했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