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252

#신원(信園) 이의양(李義養 1768~?) 본관은 안산(安山). 자는 이신(爾信), 호는 신원(信園)

#이의양(李義養 1768~?) 본관은 안산(安山). 자는 이신(爾信), 호는 신원(信園)·운재(雲齋) 또는 팔송관(八松觀). 역관으로 봉사를 지낸 이학수(李學洙)의 아들이며, 이한철(李漢喆)의 아버지이다. 1811년(순조 11) 조선시대 마지막 통신사행의 수행화원으로 일본 대마도에 다녀왔다. 1819년(순조 19)에 이수민(李壽民)·김화종(金和鍾) 등 여러 화원들과 함께 「문조신정후가례반차도(文祖神貞后嘉禮班次圖)」 제작에 참여하였다. 『고화비고(古畫備考)』에 의하면, 산수를 잘 그리고 송호도(松虎圖)에 뛰어났다고 한다. 대표작으로 우리나라와 연경(燕京)간의 명승유적과 대마도 주변을 묘사한 『사생첩(寫生帖)』(간송미술관 소장)이 있는데, 전반적으로 형식화의 경향을 드러내고 있다. 이 밖의 작품들도 대체로 ..

카테고리 없음 2024.06.17

#공재 윤두서 (恭齋 尹斗緖 1668~1715) 본관 해남. 자는 효언, 호는 공재. 고산 윤선도의 증손이자 다산 정약용의 외증조이다.

#공재 윤두서 (恭齋 尹斗緖 1668~1715) 본관 해남. 자는 효언, 호는 공재. 고산 윤선도의 증손이자 다산 정약용의 외증조이다. 장남인 윤덕희와 손자인 윤용도 화업을 계승하여 3대가 화가가문. 말과 인물화를 잘그림. 낙관; 공재 #류하마도(柳下馬圖) #낙서(駱西) 윤덕희(尹德熙 1685-1776) ; 고산 윤선도의 현손. 윤두서의 맏아들. '无人筆意(무인필의?)' 경신년중추 (1740). 父子간의 말그림과 버드나무와 말갈기, 꼬리털의 바람 흔들림을 보면 너무도 아름답지요~^^

카테고리 없음 2024.0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