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대나무 장생화조문 (長生花鳥紋) 육형제 필통 #장생문 #사슴 #학 #새 #구름 #바위 #소나무 #대나무 #아자문(亞字文) #연판문(蓮瓣文

유담강 2024. 12. 27. 06:54

#대나무 장생화조문 (長生花鳥紋) 육형제 필통
#장생문
#사슴 #학 #새 #구름
#바위 #소나무 #대나무
#아자문(亞字文)
#연판문(蓮瓣文)
#조선시대

#解語花(해어화) ;
‘말을 알아듣는 꽃’이라는 뜻으로, ‘미인(美人)’을 이르는 말. 중국(中國) 당나라(唐--) 때에, 현종(玄宗)이 양귀비(楊貴妃)를 가리켜 말하였다는 데서 유래(由來)한다.
어느 화창한 날. 태액지(太額池)에 핀 아름다운 연꽃을 바라보다가 현종(玄宗)은 문득 왕비(王妃)를 가리키며 좌우에 서있는 궁녀(宮女)들에게 「연꽃의 아름다움도 어찌 말을 알아듣는 이 꽃만 하겠느냐(何如此解語花耶).」라고 말했다고 함.
'기생(妓生)’을 달리 이르는 말.

문화재도 말을 못하는 벙어리 기생 즉 해어화(解語花)라고도 한다. 몇 백 년의 세월이 흐르는 동안 소장자의 애환과 사연이 겹겹이 묻어 있지만 누가 만들었는 지도, 어떤 주인을 만났는 지도, 또 몇 살이 되었는 지 스스로 말을 하지 못한다. 그저 자기를 더 아껴 주고 사랑해 주는 사람에게 팔려 다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