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cCpINw/btsuGwu1boY/A68uwA3y9VqwtqPn4jBtw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kXFTJ/btsuh56ghAX/kugb8GxzGVJeHgbeNSkfL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Vgo9n/btsueMNdueB/OPohQeKxllmrf9kdkouTJ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E7mDa/btsueMT3KcT/eW5AyjNY0T3BKwvvLxVzs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dLlgME/btsuCHDC2d2/sYkv8vD9kyn1HuKXpdx4A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7MRFd/btsugTkOgk7/JD0Y0UNfsLhIkt8EsgkLh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shcV2/btsuIB3DKjC/WvraW4DGJHE8MOwgVN9Ix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0VbZc/btsut4ePYDY/9TGXEALPLLB5VXDuZq9ZA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Vz2At/btsuGvizYv4/6wSZDkZlvKrGOi7wDt5qr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vmGIi/btsueJ3ZLzt/iKCoRrgcnqxrIjYiQNH32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nkQTy/btsueh0GqFM/YaFO4VGKUkMm2GEMgHDxe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dCMiLT/btsuG3zkder/kTcIDqy50VpjakC0G7uKY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p4rOb/btsufmHrQ6J/1KSppmRLB5kWA4habUXeD0/img.jpg)
#불자(拂子)
고승이 수행할 때 마음의 티끌이나 번뇌를 털어내는 데에 사용하는 상징적인 법구의 하나이다. 다른 말로 불(拂),불진(拂塵)이라고도 한다.
고승이 법상에서 강연할 때 지니는 의식용 불구로도 많이 사용된다.
'불자(拂子)’는 원래 먼지나 모기, 파리 등 벌레를 쫓아내는데 사용했던 생활용구였으나, 불교에서는 악한 것과 상념을 털어 버리는 수행의 상징적 의미로 사용한다. 주로 선종(禪宗)에서 고승이 법상에서 설법할 때 위엄의 상징으로 많이 사용되었고, 전법(傳法)의 증표로도 사용되었다.
‘불자(拂子)’는 마(麻)나 짐승의 털 같은 것을 묶고 거기에 손잡이를 붙여서 만드는데, 특히 흰 말의 꼬리털로 만든 백불(白拂)를 귀중하게 여겼다. 우리 나라에서는 총채라고 하여 조사(祖師)의 초상화인 영정(影幀)에 한결같이 나타나고 있는 도구로 그리는 경우가 많다.
'불자(拂子)’의 자루에는 용의 문양을 새기거나 그리고 끝은 단정하게 묶어서 사용한다.
#용(龍)문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