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청동(靑銅) #귀면(鬼面) #사각화로(四角火爐)

유담강 2023. 4. 8. 20:45

#귀면청동로 鬼面靑銅爐
#도철문 #도깨비문 #귀면
#4각 #4족 #화로 #고려시대
 17cm × 16cm × 16cm

화로는 솥 모양의 몸체[훈구부(燻具部)]를 받침부[기대부(器臺部)]가 받치고 있는 모습으로, 몸체에 도깨비 얼굴을 형상화시켜 놓았다. 몸체의 윗 부분인 입구는 4개의 삼각형 모양이 솟아 있고, 그릇 좌우에는 1개와 2개의 고리가 붙어 있는 것으로 미루어 손잡이가 달려 있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아랫부분은 잘록해지면서 받침부와 붙어 있다. 훈구부의 안쪽 면은 바닥이 뚫려 밑에서 들어오는 바람이 훈구 쪽으로 통하게 되어 있으며, 여기에 불받침판이 걸쳐져 있다. 잘록한 부분에 도깨비 얼굴이 크게 새겨져 있고, 입을 뚫어서 바람이 안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만들었다. 받침부 밑 다리 윗 부분에 수면(獸面) 또는 귀면(鬼面)으로 생각되어지는 모습을 조각한 4개의 다리가 붙어있다.
그릇의 모양은 향로와 비슷하지만 몸체에 바람이 들어가는 통풍구를 뚫은 구조로 보았을때, 풍로나 다로로 사용된 듯하다.

이 기물은 국보제 145호 '귀면청동로'와 비슷한 형체를 가지고 있으나  4면에 4족이며  안쪽에 불받침판이 존재함 ~